전체메뉴

닫기
행복을 키우는
행복 육아도시 하남
하남시육아종합지원센터가 함께 합니다.

육아정보 및 교육영상

> 정보마당 > 육아정보 및 교육영상
책 읽기의 즐거움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1-21 조회 445
첨부파일
 
교육적 가치가 많은 그림책 읽기 
그림책 읽기는 언어·인지능력 발달, 사회성 향상, 상상력 증대 등 많은 교육적 가치가 있다. 또한 책을 읽어주는 부모나 교사와 애착 형성을 할 수 있으며, 뇌 발달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KBS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책 읽는 대한민국, 읽기 혁명>에서는 성인이 아이들에게 책을 자주 읽어주면 언어영역을 담당하고 있는 뇌 부분이 활성화되어 언어 이해와 습득이 촉진된다고 한다. 특히 같은 그림책을 반복적으로 읽어주면 정보나 지식을 과거의 기억이나 기존 학습에 비추어 보게 되어 책에 대한이해가 빨라지고 성취감을 경험한다. 이러한 경험은 엔도르핀 분비를 촉진해 행복감을 느끼고, 책 읽기를 즐거운 경험으로기억하게 한다. 
 
어떤 그림책을 읽어 줄까? 
다양한 어휘, 자연현상, 사회현상과 관련된 정보를 얻고 싶다면 ‘정보 그림책’을 읽어주면 좋다. 아이들은 지나가는 자동차, 공원에서 뛰어다니는 강아지, 작은 개미와 같은 것들에 호기심이 많다. 이러한 호기심을 채워주기에는 정보 그림책이 적합하다.‘다문화 그림책’은 타문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성 역할, 인종, 편견 등 고정관념이 형성되지 않도록 유아기에 접하는 것이좋다. 유아기에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른 인종과 문화에 대한 편견이 생기게 되고 학령기 이후 굳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인성교육과 기본생활습관을 위한 ‘생활동화’도 영유아시기에 제공될 수 있는 그림책이다. 만 4세 이후에는 도덕성 발달을 위해 ‘전래동화’나 ‘세계명작동화’를 읽어 주고, 곁들어 어린이를 위한 전문적인 ‘매거진’도 함께 읽어 사회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도 자연스럽게 나눈다.
 
 
 
 
 
 
그림책, 어떻게 읽어주는 것이 좋을까? 
유아들에게 책을 읽어 줄 때는 같은 그림책을 반복해 읽어주는 것이 좋다. 그리고 대화식 질문을 통해 함께 이야기 나눈다.‘주인공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그런 일이 일어났을 때 주인공은 어떻게 행동했는지’ 등 사실적으로 질문한다. 또한 ‘주인공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동을 취하면서 어떤 생각을 했을까’하며 추론적인 질문도 함께 한다. ‘유아가 주인공과 같은경험이 있는지’ ‘앞으로 같은 일이 일어난다면 어떻게 하면 좋을지’ 등의 비평적 질문도 유아의 사고를 발달시킨다.
 
앞으로의 그림책, 어떻게 변화할까? 
기존 그림책은 그림과 활자를 인쇄하여 책으로 제공됐다. 그러나 앞으로는 읽기, 쓰기, 텍스트 등이 변하는 일명 ‘디지털 혁명’ 시대로 생산부터 소비에 이르는 모든 과정이 완전히 변화된다. 특히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목적으로 숲을 가꾸고 보존하기 위해 전자책의 가치가 새롭게 인식되고 있으며, 4차산업혁명과 맞물려 스마트 전자책 출판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AR(증강현실), VR(가상현실), MR(융합현실)의 구현으로 현실에서 불가능 했던 경험들이 가능해 지고 있으며, 이러한 실감형 콘텐츠가 그림책에도 적용되고 있다. 
 
흔히 요즘 세대를 ‘디지털 네이티브’라고 일컫는다. 이들은 지식 정보의 시대를 살아간다. 따라서 정보를 읽고 해독하는 능력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능력의 기초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그림책 읽기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스마트 미디어 매체를 이용한 그림책 읽기는 유아가 상호작용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책에 대한 흥미와 콘텐츠 몰입에 유리한 환경을 만든다. 이러한 경험은 책 읽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끌어낼 수 있으며, 책에 대한 친밀도를 높인다. 동시에 자연스럽게 종이책으로 관심이 전이되어 종이책을 읽을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고, 올바른 독서습관을 갖는다. 유아기부터 스마트미디어 매체와의 친숙성과 친밀성을 기르는 것은 성인이 된 후에도 스마트 미디어 매체를 통한 책 읽는 습관을 자연스럽게연계시킬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책의 형태가 아니다. 종이책의 가치를 유지하면서 시대 흐름을 따라 자연스럽게 다양한 매체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유아가 자발적으로 올바른 독서습관을 갖도록 흥미와 관심, 그리고 동기유발 환경을 조성하고 생각의 근거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아이들의 삶이 풍성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김창숙
단국대학교 사범대 초빙교수
LG U+ 아이들나라 자문교수
그림유치원 원장
 
 
저작권자 ⓒ EK(주)_월간유아 by 키드키즈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이미지 무단 사용, 상업적 이용 금지